R&D 성공사례
사업문의는 010-6742-1176 홍승민 경영컨설팅(주)
개발제품
|
심리안정 음원 구독서비스
|
지원기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과제명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
사업명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디딤돌)
|
정부지원금
|
130,000,000
|
사업기간
|
12개월
|
개발내용
컨설팅 신청 과정
대표님께서 평상시 자주 듣는 라디오에서 (팟케스트) 광고를 듣고 연락 주셨습니다. 역시 직접 정부지원 사업계획서 작성하셔서 여러번 도전 하셨고 그 중에서 창업진흥원 과제 하나 선정되서 개발 완료 하셨습니다. 하지만 이 아이템은 아쉽게도 사업화는 실패
기업 기술력 수준
콘텐츠 개발 능력은 (음원 콘텐츠) 최고 수준입니다. TV에서 볼수 있는 국내 유명 가수 작곡가 팀 출신이 CTO 분이시고... 그리고 또 개발된 음원을 이용하여 관련한 파생상품 만드시는 능력도 뛰어납니다. 다만..... 저랑 진행하고 있는 SW를 응용하여 콘텐츠를 확장하는 것은 SW 기술이 있어야 하는데 SW 기술이 없었습니다.
대표님은 음원치유 분야 선도적인 실력을 가지고 계시고, 상무님은 서비스 기획 선수입니다.
기업 확보 자산 수준
최고수준의 녹음실, 작곡실 확보, 최고수준 작곡가
컨설팅 내용
당연하듯이 기업진단부터 진행했습니다.
콘텐츠 개발 능력, 기획능력은 뛰어난데 이를 설명하는 방법을 모르고 계셨습니다. 그래서 이를 설명하기 위한 일종의 템플릿을 같이 만들어서 템플릿을 중심으로 다시 콘텐츠를 기획하는 것을 제안드렸고 템플릿으로 기획서가 나오다 보니 거의 최고수준의 아니지... 최고의 콘텐츠 기획자 였습니다. 다만 표현하는 방법을 몰랐을뿐입니다.
심리안정 은원은 잘 만들지만, 심리를 진단하는 방법이 원래 그렇든 추상적 이였습니다. 당연한 것이 이러한 콘텐츠의 큰 특징은 ‘이질성’ 때문입니다.
이질성이란,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람마다 느낌이 다릅니다. 그래서 소위 말하는 ‘호불호’ 가 있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동일한 기준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진단’부터 정량화가 되야 합니다. 다행이도 해당분야 전문가 답게 아주 쉽게 정답을 찾아 주셔서 그것을 시스템에 적용하기로 했고 이 정량적 기법을 과제의 최고 슬로건으로 내세웠습니다.
어려운 부분은 SW 개발인력이 역시 없었습니다. 형식적으로 한분이 계시기는 했지만 사실상 관리자 수준이셨습니다.
그래서, 대표님이 가장 친한분들 중심으로 수소문하여 대학과 컨소시엄을 구성해서 산학 콜라보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
|||
향후 업무계획
- 음원 구독서비스 개발을 위한 서비스 경험 디자인 진행 예정
- 제품 홍보를 위한 홍보전략 기획 예정
- 제조업 준비 및 신제품 기호기 진행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