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tiTpc7g9EFArxomgX7IqEflz-fp4nI0F2jLaMkFLPoQ
따라하면 성공하는 보고서 작성법
정보제공 보고서 작성법_요약보고서
정보제공 보고서의 전형적인 특징중 하나는 커버 1장 이 중요합니다. 우리는 정보제공 보고서를 수시로 받아 보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막상 작성하려고 하면 어렵습니다. 정보제공 보고서의 대표적인 예시가 KDI에서 나오는 ‘경제동향’ 보고서입니다.
위 보고서의 전체 페이지 수는 77장입니다. 77장의 보고서를 ‘종합평가’ 한 장으로 표현 하였습니다. 생성형 인공지능의 최대 기능 중 하나가 문서 요약입니다. 문서요약 자체는 생성형 입장에서 매우 쉬운 과업입니다. 문서요약에서의 문제는 정말 핵심내용을 요약 했느냐 또는 보고 받는 사람이 원하는 것을 잘 요약 하였느냐가 가장 중요합니다.
문서의 요약에 앞서서 먼저 ‘정보제공 보고서’를 작성을 하는 목적을 생각해 보겠습니다. 무려 77장이나 되는 보고서에서 정말 필요로 하는 부분은 무엇일까요? 그리고 우리가 정보제공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77장 중 어느 부분이 가장 중요할까요? 그리고 정말 잘 작성해야 하는 것 그러니가 강조해야 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하지만 선뜻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업무지시자의 목적’이 중요합니다. 위의 작은 이미지로, 종합평가 부분만 크게 보겠습니다.
큰 글씨로 보니 조금 해석이 되시나요? 최근 경제 동향에 대해 어떤 느낌이 드시나요? 독자님들을 제가 감히 조금 무시하자면, 생산성이 전월대비 0.7%오르고 소비자 심리가 전월대비 보합 이라면, 경제가 어떨까요? 여기서 ‘보합’ 이라 하면 특정 숫자의 시계열 지표상 증감이 평균에 수렴되어 크게 차이가 없는 경우를 말 합니다. 그럼 우리 이 경제동향 보고서를 대하는 우리의 자세를 냉정하게 생각해 보겠습니다. 경제동향을 조사하라고 지시한 사람 또는 우리가 경쟁동향 조사 업무를 지시 할 때, 업무지시에 대한 보고서가 지금 예시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멋지고, 혁신적이고 매우 강력한 보고서나 나왔다고 가정을 하면, 그러니까 우리가 작성한 또는 지시를 한 보고서의 형태가 이 서류라면, 여러분은 이 서류 해석이 되시나요? 우리 솔직히 얼마나 경제에 대해서 이해를 하고 있나요? 일단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경제 하나도 모릅니다. 다만 ‘멘큐의 경재학’ 은 읽었습니다.
그럼 이러한 사고를 바탕으로, 이어서 다음 포스팅에서는 77장에 달하는 보고서를 어떤 식으로 요약해야 하는지 알아 보겠습니다.
.
.
.
생성형인공지능, LLM, 일잘러, RAG응용, 챗지피티 를 활용해서 프로 일잘러 되기 출간 준비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