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tiTpc7g9EFArxomgX7IqEflz-fp4nI0F2jLaMkFLPoQ
따라하면 성공하는 마케팅 효과 측정
지난번 포스팅에서 말했듯이, 마케팅 효과를 측정할때에
우리가 원하는 것 = 마케팅 예산을 투입했을때의 예상되는 매출액 인데요.
스마트스토어를 예시로 살펴보겠습니다.
초기창업자에 적합한 단순회귀 식
우리가 물건을 팔고자 하면 특히 국내에서 물건을 팔고자 하면 제일 먼저 ‘스마트스토어’에 들어가서 광고를 합니다. 자사몰이 있어도 스마트스토어에서 광고를 하고 스마트스토어만 있어도 스마트스토어 광고를 합니다. 그러다 매출이 발생하면 점점 확장을 하기 시작합니다. 그래서 이른반 ‘단순회귀식=1차방정식’을 이용해서 우리가 스마트스토어에 광고를 얼마 집행하면 얼마의 매출이 발생되는 지를 확인 하겠습니다. 이러한 확인에 앞서서 ‘키워드’ 광고를 할 때 키워드 마다 조회수가 달라 집니다. 그렇기에 키워드 중심이 아닌 홍보비 중심으로만 보겠습니다.
다음 예시는 우리가 실제 네이버 키워드 광고를 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것입니다. 키워드 광고 시스템 특성상 한번에 광고비를 다 소진하는 것이 쉽기도 하지만 어렵기도 합니다. 그래서 전제가 필요한데,
1.광고캠페인은 하나다.
2.캠페인에 대한 광고비 지급 지출기준은 1주일이다.
3.광고비 집행한 기간은 총 30주이다.
4.주마다 늘어나는 조회수 (경험치)에 연동해서 광고비를 규칙적으로 증가 시켰다.
이 네가지 전제를 기준으로 말씀 예시를 보겠습니다. 그리고 1,2,3 기준은 가정에 따라 달라집니다. 기간을 조정하셔도 되고 (1달,1일 등) 총 광고기간을 조정하셔도 됩니다. 광고비가 증가 하는 것은 일정 비율로 해줘야 합니다. 고정값으로 가면 ‘상수’가 되므로 예측이 불가능해 집니다.
차트를 보면 광고비의 흐름에 따른 매출액 증가를 볼수 있습니다. 중간에 못 생긴 점이 두 개 있지만 전체적으로 선형을 유지 하니 극단치라 보기 어렵습니다. 좀더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자수염을 이용해도 좋습니다. 하지만 저는 제거하지 않고 하겠습니다. 이러한 분석은 제가 임의로 한 것입니다. 사실 위 그래프는 크게 한번 꺾였고 그리고 작게는 두 번정도 꺾였습니다. 그래서 선형이라고 보기 어렵고 다항식이라고 보는게 맞습니다. 그리고 극단치 문제도 극단치에 대한 정의가 먼저 정의 되야 하는데 이런 복잡한 것을 제외하고 눈으로 딱 보고 대략 선형을 유지 하니 선형으로 분석하겠습니다. 이어서 다음 포스팅에 해석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
.
.
생성형인공지능, LLM, 일잘러, RAG응용, 챗지피티 를 활용해서 프로 일잘러 되기 출간 준비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