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tiTpc7g9EFArxomgX7IqEflz-fp4nI0F2jLaMkFLPoQ LLM( 생성형) 업무효율화, 업무활용, 인공지능 활용하여 일잘 하는법 112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LLM( 생성형) 업무효율화, 업무활용, 인공지능 활용하여 일잘 하는법 112

카테고리 없음

by 홍승민경영컨설팅(주) 2024. 11. 7. 09:54

본문

따라하면 바로 적용 가능한 이동평균법과 계절요인 제거하는 방법

 

(앞선 글에 이어) 계절요인분석 3

 

그럼 이제 가중이동평균을 적용해 보겠습니다. 가중이동평균을 적용하는 이유는 특정 데이터에 무게를 더 높게 주기 위함입니다. 즉 이동평균보다 더 정확합니다. 그리고 현재 이동평균 까지만 구한 시점에서 실제 관측값 하고 예측값하고 비교하면 차이가 어마무시 합니다. 왜냐하면 아직까지는 신뢰하기 어려운 값이 나올 수밖에 없습니다. (그럼에도 추세식을 이용하는 것 보다는 오차가 적습니다)

 

가중이동평균을 적용하면서 가중치를 계산해야 하는데 이것은 사용자의 직관에 의해 결정 됩니다. 현재 저는 1~4분기 중에 1,2분기는 매출이 낮고 3,4분기는 매출이 높아서 어떤 분기에 매출을 높인다라기 보다는 매출이 낮은것도 인정하고 높은것도 인정하기 위해서 1,2/3,4 이렇게 50%씩 하기로 결정 했습니다. 다시 말씀 드리면 이동평균 결과 값 2개를 가중이동평균으로 하고 5:5 비율로 하겠습니다. 이렇게 되면 이동평균 결과 2개의 평균을 적용하게 됩니다.

그래서 G9의 함수식은

 

=AVERAGE(F8:F9)

 

이후 더블클릭으로 빈칸을 채워 줍니다. 이제 계절지수를 입력해야 하는데, 계절지수를 입력하는 방법은 가중이동평균 값을 관측값으로 나누어 주면 됩니다.

 

각 분기별 계절지수를 구했습니다. 근데, 계절요인을 정확하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각 분기별 다른 계절지수를 입력해야 합니다. 하지만 구한 계절지수 자체도 각 연도별 다르므로 각 분기별 평균으로 (20,21,22,23년도 각 1분기의 계절지수의 평균)을 구하고 각 분기별 계절지수의 또 평균을 구한 다음 각분기별 계절지수에서 평균계절지수를 나눠 주면 그것이 수정된 지수입니다. 이것은 계산하기 편하게 K:M에 넣겠습니다.

 

함수식 요령을 말씀 드리면, 하나 하나 분기별 찾아서 평균을 구하는 방법인데 함수식이 길어지고 복잡할 수도 있으니 조건에 맞으면 평균을 구하고 조건이 다르면 안구하는 함수식을 이용하겠습니다.

AVERAGEIFS

 

L9의 함수식은 =AVERAGEIFS($H$9:$H$21,$C$9:$C$21,K9)

 

함수식을 해석을 하면, H9:H21 즉 계절지수에서 목적과 같은 값을 찾아서 평균을 구하는데 C9:C21에서 컬럼에서 일치하는 것을 찾아서 평균을 구하는 것이고, 참조 컬럼은 K컬럼. 다시 말씀 드리면 K하고 일치 하는 것이 C에 있으면 해당하는 H 값들을 추려서 평균으로 계산하게 만든 것이 위에 있는 AVERAGEIFS 함수식입니다.

 

수정지수는 계절지수 평균으로 나누어 준것입니다.

 

M9=L9/$L$13

 

 

다음 포스팅에 이어서 계속

.

.

.

생성형인공지능, LLM, 일잘러, RAG응용, 챗지피티 를 활용해서 프로 일잘러 되기 출간 준비중~~!!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