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tiTpc7g9EFArxomgX7IqEflz-fp4nI0F2jLaMkFLPoQ LLM( 생성형) 업무효율화, 업무활용, 인공지능 활용하여 일잘 하는법 137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LLM( 생성형) 업무효율화, 업무활용, 인공지능 활용하여 일잘 하는법 137

카테고리 없음

by 홍승민경영컨설팅(주) 2024. 12. 9. 09:23

본문

따라하면 성공하는 S 곡선을 활용한 신제품 판매숫자 예측하기

 

 

S곡선=로지스틱 곡선

 

신제품이 출시돼서 시장에 보급되면서 특정한 요건이 충족이 된다면 확산이 됩니다. 이때 그 확산의 형태는 S 형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정한 요건이라면 1.혁신의 상대적 이점 2.호환성 3.복잡성 4.시험 가능성 5.관찰 가능성 6.커뮤니케이션 채널 7.사회적 시스템 이 있습니다. 본 챕터에서는 앞서 말씀드린바 이론을 배우기 위한 것이 아니므로 간단하게만 알아보고 S곡선을 활용하여 해석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혁신의 상대적 이점: 기존 제품보다 경쟁 우위를 말 합니다. 보통 소비자들 기준에 의한 경쟁우위 개념입니다.

2.호환성: 사용자의 과거 경험과 얼마나 유사하느냐입니다. 사람은 관습, 문화에 영향을 받아서 그렇습니다.

3.복잡성: 복잡하면 안됩니다. 매우 직관적이어야 합니다.

4.시험 가능성: 신제품은 소규모로 충분히 테스트 가능해야 합니다. 불특정 다수가 테스트에 문제가 없어야 합니다.

5.관찰가능성: 혁신의 효과가 주변 사람들에 잘 뛰어야 합니다. 주위에 이걸 많이 사용하면 그만 큼 확산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이야기합니다.

6. 커뮤니케이션 채널: 구전효과의 채널이 중요합니다. 기술이 확산될수록 커뮤니케이션의 영향을 많이 받고 어느 순간 터지기 마련입니다.

7.사회적 시스템: 기술이 보급되기 위해서는 사회적으로 기술을 받아서 드릴 준비가 되어야 합니다.

 

S곡선은 아래와 같은 형태입니다.

 

전체 시장 100%에서 초기에는 당연히 이노베이터 그룹 그리고 소수의 얼라아답타 그룹이 제품을 구입합니다. 이들은 시장을 선도하거나 견인하는 역할을 하지 실질적인 소비자들이 아닙니다. 우리의 실질적인 소비자들은 얼리 머저러티 (조기 다수 수용자) 가 해당됩니다. 신제품 관점에서는 말입니다. 그리고 하나더 시장은 100%를 초과해서 확장합니다. 하지만 분석, 계산을 위해서는 100%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용이합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상대적으로 후발 주자고 늦게 시장에 들어간다면, 현재 시장이 어느 정도 보급 수준이고 얼마 정도가 대략 판매가 되었고 우리가 들어가게 된다면 경쟁사와 비교 우위를 가지고 있다고 할 때 어느 정도 시장점유율을 목표로 한다면, 대략적인 판매 수량이 나옵니다. 만약 이 때 시장에 없는 신제품이다 하면 이러한 이론을 100% 적용하기는 모호하다 판단이 되실 수도 있지만, 시장에는 그런 제품이 거의 없습니다. 현재 개발하시는 제품이 혁신제품이라 하더라도 말이죠. 그래서 가장 유사한 제품의 시장 보급을 기준으로 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의 제품들은 시장에서의 수요나 보급률이 예측 됩니다.

그래프의 특성상 초기에는 낮은 수준으로 보급이 되다 어느 순간 급격하게 경사가 가팔라 지고 다시 완만하게 보급됩니다. 우리는 이러한 논리를 배우고자 하는게 아니니 그냥 외우십시오. 자연의 법칙이다 하고 외우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 그래프를 기준으로 현재 수준을 파악한다면 그 다음 준비를 하면 됩니다. 먼저 현재 수준 파악하는 방법에 앞서 제가 구분한 3단계에서의 마케팅 전략 방법을 구분해보면 다음과 같이 일반적으로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1단계 2단계 3단계
이노베이터를 중심으로 확산
이노베이터 중심 홍보
그들의 혜택 제공
좁고 투텁게 홍보
얼리아답타 중심의 확산 전략
대규모 홍보 진행
다양한 채널 활용
경쟁사와의 협업
신기술 도입
이노베이터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저비용 전략

 

(다음 포스팅에 이어서 계속)

.

.

.

생성형인공지능, LLM, 일잘러, RAG응용, 챗지피티 를 활용해서 프로 일잘러 되기 출간 준비중~~!!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