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tiTpc7g9EFArxomgX7IqEflz-fp4nI0F2jLaMkFLPoQ
사업계획서 작성 문의는 010-6742-1176 / 홍승민
생성형 포럼 사이트 : https://llmrag.co.kr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앞선 포스팅에 이어)
(1) 논리적 구조
모든 프롬프팅은 논리적으로 일관된 주장을 해야 합니다. 하나의 프롬프트에서 내가 원하는 답변을 얻기까지 모든 내용이 일관된 주장이어야 합니다. 아래 예시는 육하원칙을 기준으로 먼저 보여 드리고 그다음 사업계획서 작성 관점에서 보여 드리겠습니다.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왜, 어떻게
육하원칙에 대한 작성법을 본 책에서 이야기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습니다. 이유는 너무 쉽다고 해야 할지 아니면 너무 어렵다고 해야 할지 이 책에서 판단하기에는 너무 부족한 지면이어서 육하원칙에 대해서 설명하는 것이 많이 부담스럽습니다. 그렇기에 육하원칙 작성법에 대해서 이야기하기보다, 생성형에서 적용하기 용이한 일종에 규칙성을 찾아서 설명드리겠습니다.
누가/무엇을: 이렇게 두 가지는 행위의 주체와 행동에 대한 것입니다.
예시: ‘홍승민이 글을 씁니다.’
왜/어떻게: 이렇게 두 가지는 하는 이유 즉 명분과 방법론에 대한 것입니다.
예시: ‘생성형 인공지능 활성화를 위해 직접 작성합니다.’
언제/어디서: 이렇게 두 가지는 시간적, 물리적 설명을 통해 앞선 4가지의 이해를 돕기 위한 부사적인 것입니다.
예시: ‘주로 오후 시간에 회사 사무실에서’
이렇게 3문장을 하나로 연결하면
‘홍승민은 생성형 인공지능 활성화를 위해 주로 오후 시간 회사 사무실에서 직접 글을 씁니다.’
이렇게 육하원칙에 의해 글을 작성하면, 구조적 형식 그리고 맥락 제공, 일관된 주장이 가능하게 됩니다. 이를 기본으로 하는 것이 이른바 ‘프롬프팅 기법’입니다.
이 방법은 일반적인 질문을 할 때 적용하는 프롬프팅 기법입니다.
사업계획서 작성 시에는 과제의 목표, 과제의 핵심 키워드, 과제명 특히 과제 개요 그리고 과제의 특장점이 잘 표현되는 그런 구체적인 프롬프팅을 논리적으로 작성해야 합니다. 구체적인 예시는 실제 사례를 기준으로 사업 기획하기 챕터에서 예시를 보면서 설명하겠습니다.
(다음 포스팅에 이어서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