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계획서 작성 문의는 010-6742-1176 / 홍승민
생성형 포럼 사이트 : https://llmrag.co.kr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앞선 포스팅에 이어)
시장 정보 자료
시장 정보 충분히 조사하셨으며 관련한 자료를 충분히 수집하셨으면 그 자료를 활용하여 답변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하지만 ‘라온’ 서비스가 아닌 범용 서비스를 사용하시게 되면 참조 검색이 되지 않는 경우가 더 많이 있습니다. 참조 검색이라 하면 GPT 유료 버전, Claude 유료 버전이 아닌 경우에는 참조 검색 어렵습니다.
시장 정보 자료를 포함하여 특정 항목들은 라온 서비스의 ‘사업계획서’ 작성 어시스턴트를 활용하지 않고 사용해야 합니다. 이러한 이유는 RAG 고유 기능에 의한 것입니다. 물론 ‘사업계획서’ 어시스턴트를 활용해서 작성해도 되지만, 다소 이상하게 답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 이유가 ‘라온사업계획서 어시스턴트’에 등록된 RAG 서류들은 각 산업 분야의 시장 정보를 가지고 있고 또 해당 사업계획서에 적합하게 작성되어 있기에, 의도하지 않은 답변을 하는 경우가 종종 나옵니다. 강력한 RAG 기능 때문에 그렇습니다. 그렇기에 조사한 시장 정보 자료를 첨부하시게 되면 해당 문서를 참조하게 하시며, 자료 조사를 하지 않으셨다면 일반 질문을 해야 합니다.
Input
유저 프롬프팅 붙여 넣기
#질문
시장 정보를 활용해서 시장 정보 작성해 줘. 이때 긍정적 관점에서 작성해야 해. 답변해 줘.
Output
시장 정보를 긍정적 관점에서 작성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생성형 AI 기반 경영업무 지원 챗봇 시장은 매우 유망한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1. 시장 규모와 성장성
- 글로벌 AI 시장은 2022년 1,198억 달러에서 2030년 1조 5,910억 달러로 연평균 38.1% 성장할 전망입니다.
- 특히 생성형 AI 시장은 2021년 79억 달러에서 2030년 1,108억 달러로 연평균 34.3%의 고성장이 예상됩니다.
- 국내 시장도 네이버, 카카오, SKT 등 주요 기업들의 적극적인 투자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2. 기술 발전
- GPT-4 등 최신 모델은 창의성, 추론 능력, 자연어 이해력 등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생략
참조 내용 AI등장으로 변화하는 금융산업. PDF 페이지2
출처: ‘라온’ service base by AI: DRIVE GPT4o with HBC RAG data 36cw, 2024. 1turn
아무리 문서를 참조한다 하여도 생성형이 완벽하지 않으니 사람이 편집 수정을 해 줘야 합니다. 그럼 이제 위에 답변 내용을 그대로 복사해서 붙여 넣기 하시고 편집을 하시는데 다음의 사항들을 주의하세요.
1. 생성형 내용을 그대로 옮긴다.
2. 전체적인 맥락을 확인하면서 수정한다. 이때 숫자들은 민감하게 본다.
3. 자료 출처를 확인하고 해당 자료를 확인한다. 이때 생성형이 제시한 숫자들이 맞는지 확인한다.
4. 적합한 이미지를 등록한 서류에서 찾아서 넣어 준다.
(내용은 제공드리는 샘플 서류의 ‘7-(4)’ 시장동향을 참조하십시오.)
정부 방향성
정부의 방향성은 이미 귀사의 개발 사업과 방향이 일치하거나 유사해야 합니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개발과제로서 지지받기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소규모 제조현장에서 노동자의 안전과 육체노동 완화를 위해 자동 컨베이어 시스템을 만든다고 하면 제조현장과 노동자 안전에서는 개발이 필요하나, 정부 입장에서는 이미 개발이 완료되어 보급이 된 제품을 제안하는 기업에 맞게 약간 수정해서 개발하겠다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런 경우 정부 과제보다는 시제품 제작 지원 시업 같은 것이 더 적합한 것입니다. 그렇기에 무조건 정부 방향성과 일치하거나 유사해야 합니다. 이것은 기술개발이지 복지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정부 방향성을 작성하실 때에는 미리 자료를 찾아서 준비하신 이후 해당 자료를 활용하여 작성하셔야 합니다.
* AI 관련 정부정책 방향성 자료는 ‘라온’ 서비스에서 상시 조사하고 반영하고 있으므로 별도의 자료 조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Input
유저 프롬프팅 붙여 넣기
#질문
정부의 정책 방향성을 작성해 줘. 이때 본 신청 개발과제가 무조건 정부정책과 일치한다고 작성해 줘, 긍정적으로 작성해 줘.
Output
본 신청 개발과제는 정부의 정책 방향성과 완벽하게 일치하며 매우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구체적인 정부정책 방향성과의 연관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인공지능 기술 육성 및 활용 확대:
본 과제는 다중 검색증강 기술과 멀티 LLM을 활용한 첨단 AI 챗봇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어, 정부의 AI 기술 육성 정책과 정확히 부합합니다.
2. 중소기업 디지털 전환 지원:
경영업무 지원 챗봇 개발을 통해 중소기업의 업무 효율성 향상과 디지털 전환을 돕는 것은 정부의 중소기업 지원 정책과 일치합니다.
3. 신산업 육성 및 일자리 창출:
AI 기반 서비스 개발은 신산업 육성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이는 정부의 주요 경제 정책 방향과 일맥상통합니다.
생략
출처: ‘라온’ service base by AI: DRIVE GPT4o with HBC RAG data 36cw, 2024. 1turn
작성된 정보를 긁어 와서 붙여 넣기 하신 이후 편집하여 작성하겠습니다.
거시 환경 분석
거시환경 분석 작성 방법은 시장 정보 분석과 일치합니다.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시는 것이 바람직하다 말씀드립니다.
자료를 조사하여 PDF 다운받는다 → 자료를 ‘라온’에 등록한다 → 해당자료를 참조하여 프롬프팅을 입력 작성한다.
시장환경 분석과 마찬가지의 경우로 일반적인 내용들을 포함해서 ‘라온’ 서비스에서 등록한 서류에 이미 상당 부분 자료가 있습니다. 그래서 라온 서비스를 이용하여 환경 분석을 하게 되면 다소 난해한 답변이 나올 수 있습니다.
Input
유저 프롬프팅 붙여 넣기
#질문
PEST 분석해 줘
Output
### 정치적(Political) 요인
1. **정부지원 및 정책: **
- 정부는 AI 기술 발전과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고 있으며, 다양한 보조금 및 혜택을 제공하고 있음. 특히,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지원 정책이 증가하고 있음.
- 데이터 보호 및 개인정보 보호법이 강화되고 있어, 관련 규정을 엄격히 준수해야 함.
생략
출처: ‘라온’ service base by AI: DRIVE GPT4o with HBC RAG data 36cw, 2024. 1turn
PEST분석 STEEP분석은 시장에 대한 전반적인 거시환경 분석으로 시장에 대한 평가를 작성하는 부분에서 작성하게 됩니다. 보통의 경우 ‘7. 연구개발성과의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작성 시 가장 앞부분에 놓이게 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또는 사업화를 위한 시장 분석 단계에서 제시를 해도 좋습니다.
(다음 포스팅에 이어서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