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tiTpc7g9EFArxomgX7IqEflz-fp4nI0F2jLaMkFLPoQ
정부지원 사업계획서 합격을 위한 조건
정부가 사업계획서를 보고 판단하는 여러가지중 가장 기본이자 필수로 준비해야 하는 조건이 있습니다.
‘기업부설연구소, 이노비즈, 벤처기업, 특허 고용창출 1억당 1명’
다음 사항은 예비창업의 경우라도 일부는 보유하고 있어야 하고 창업기업이라면 최대한 빠른 시간안에 준비해야 하는 것들 입니다. 이러한 준비들이 가장기본이 되기 때문입니다.
항목
|
내용
|
기업부설연구소
|
기업내 부설연구소 또는 연구전담 부서
|
이노비즈
|
기술혁신형 기업 인증서
|
벤처기업
|
기술유망 벤처기업
|
특허
|
자사 기술 경쟁력 확보
|
신규채용
|
지원금 1억당 1명 정도 고용
|
정부가 선호하는 기술개발
|
4차산업혁명 관련
|
기업부설연구소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에서 진행하는 기업부설연구소 사업은 기업이 연구를 하기위한 최소한의 조건을 구축하였는지를 판단하고 조건이 된다면 발행해주는 인증서 입니다. 인적 물적 요건이 안되는 경우 연구전담 부서 발행도 진행을 하며 과제 평가시 부설연구소 또는 연구전담의 차이는 없습니다.
기업부설연구소 진행을 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양식의 기술개발 사업계획서를 작성해야 하는데, 정부지원사업계획서와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작성하기 용이하니,본 사업계획서를 작성하기 전에 연습으로 작성을 해도 좋습니다.
이노비즈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인증인 이노비즈 인증은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인증하는 제도 입니다. 인증을 획득하면, 수수료 면제 세무조사 유예등 다양한 해택도 있습니다.
벤처기업
사단법인 벤처기업 협회에서 인증하는 벤처기업 인증서로서 다양한 벤처인증 방법이 있습니다. 자세한 조건은 벤처기업협회 웹페이지에서 확인을 하시면 됩니다.
고용창출
고용창출은 항상 강조되어 오던 중요사항 입니다. 고용창출은 반드시 해야 하며 지원금 1억원당 1명의 상시고용 (1년이상) 을 확약하면 크게 문제시 되지 않는 부분 입니다.
정부지원사업 지원을 위해 정부지원사업사업계획서 를 잘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