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LM( 생성형) 업무효율화, 업무활용, 인공지능 활용하여 일잘 하는법 21
일단 읽고 따라 하면 성공하는 인공맹 탈출법
인공맹을 탈출하는 법
현실적으로 프로그램 개발자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인공맹을 탈출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지 고민해 보겠습니다.
우리는 대부분 초거대 인공지능을 만들 수 있는 능력이 되지 않습니다. 일부 스타트업이 자체 구축한 초거대 모델을 보유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Open AI, Claude 3, 하이퍼 클로바X, 구글 재미나이 수준입니다. 글을 작성하는 시점에서 시장점유율을 비교하는 자료를 찾기는 어렵습니다. 이것은 다행이라는 생각이 먼저 드는데, 그 이유가 아직 우리에게는 많은 기회요소가 남아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입니다. 그럼 우리가 초거대 인공지능을 만들 수는 없지만 기회가 있다는 이야기는 다음 예시로 알아보겠습니다.
현 라인게임즈 구 넥스트플로어 라는 국내의 굴지의 게임회사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이 사례는 신문기사 및 온라인 블로거 내용을 취합하여 제가 재 구성하는 것으로 사실 관계에 있어 다소 부족할 수 있습니다.
라인게임즈의 전신 넥스트플로어는 국내 게임회사로 드물게 콘솔게임을 중심으로 하는 창업기업이였습니다. 콘솔게임이다 보니 주로 패키지 형태의 게임을 중심으로 기술 개발을 진행했고 , 패키지 게임의 특성상 한번 완성된 게임은 업데이트가 쉽지 않은 것이 특징입니다. 그러므로 추정 가능한 것은 아마도 다른 게임개발 회사대비 넥스트플로어는 게임의 기능적 완성도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게임이라는 것은 기능적 완성도가 매우 중요하지만, 기본적인 게임의 콘텐츠가 제일 중요하고 그리고 콘텐츠를 나레이션 하는 방법 소위 말해서 사람을 학습시키듯이 게임을 참여시키는 나레이션 방법이 중요합니다. 그래서인지 조심스레 라인게임즈에 대해 감히 평가하자면, 기존의 여느 게임개발회사와 크게 차별성이 없다는 생각을 했던 기억이 납니다.
그러다 스마트폰이 등장하고 새로운 스마트기기를 운영하는 소프트웨어 시장이 나타났습니다. 애플의 IOS 와 구글의 안드로이드를 말씀 드리는 것입니다. 이것은 기존의 하드웨어 운영체제인 윈도우 보다 더 강력한 파급력을 가진 새로운 운영 방법이었습니다. 물론 기존의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사용하는 방법 및 용도 모두 다른 것입니다. 이렇게 새로운 시장이 나왔을 때 현재와 같이 이렇게 시장이 커질 줄 아무도 몰랐습니다. 실제로 당시 IOS,안드로이드,삼성바다 그리고 블랙베리등 매우 다양한 운영체제가 있었습니다. 이들은 저마다의 기술력을 강조하며 시장 점유를 위해 매우 많은 노력을 하던 때입니다. 이러한 시장격변기에 넥스트플로어는 기민하게 움직입니다.

이미지를 보니 기억이 나시는지요? 당시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누구나 하던 게임입니다. 당시 파급력이 어느정도였냐 하면, 지금은 당연한 이야기인 부분 유료화를 진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들이 크게 줄어 들지 않았던 시장지배적 콘텐츠입니다.
당시에도 그렇지만, 지금도 비슷한 생각을 합니다. 이게 과연 게임 콘텐츠로 얼마나 우수하느냐 질문인데 예를 들면, 게임의 조작성이 우수한가? 아니요. 게임 케릭터 디자인이 우수한가? 아니요, 게임에 임무지형적 과제를 부여 하는가? 아니요, 게임의 메인 줄거리는 설득적인가? 아니요.
게임으로서의 당연한 질문들은 계속해도 단 하나의 부합되는 것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 게임을 오래 하신 분들은 기억 하시겠지만 과거 ‘겔럭시’ 라는 게임하고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좌우로만 움직이고 아이템을 먹으면 확장하고 게임은 동일한 내용으로 무한 반복되고 등 게임으로서의 매력을 느끼기 어려운 게임콘텐츠입니다. 하지만 앞서 말씀 드린대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하고 심지어 부분유료화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이탈율이 적인 매우 사업성이 좋은 게임입니다. 그래서 이 회사는 대기업에 편입되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창업자’ 입장에서는 매우 긍정적인 EXIT 결과라 할수 있겠습니다.
극단적인 예로 넥스트플로어 사례를 가져왔습니다. 그들이 잘한 건 한순간의 선택을 잘 한 것입니다. 물론 그러한 선택을 하기 앞서서 내부적인 내공은 어마무시 할 것입니다. 하지만 그들이 진짜 잘한건 남들보다 빠르게 스마트폰 비행게임을 만들어서 일단 출시 한 것입니다.
지금 생성형인공지능 특히 LLM 시장이 그렇습니다. 이 글을 읽자마자 빠르게 귀사에서 도입을 하면 분명 경쟁기업과 차별적인 위치에 올라가서 ‘인공맹’ 탈출 가능합니다.
말은 어렵게 했고 다양한 자료를 봐서 뭐가 뭔지 복잡 하시지만 확실하게 말씀 드릴 수 있는 것은 따라하면 됩니다.
.
.
.
생성형인공지능, LLM, 일잘러, RAG응용, 챗지피티 를 활용해서 프로 일잘러 되기 출간 준비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