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LM( 생성형) 업무효율화, 업무활용, 인공지능 활용하여 일잘 하는법 136
따라하면 성공하는 S 곡선을 활용한 신제품 판매숫자 예측하기
현재 점유율만 알아도 우리 신제품의 예상 판매수량 추정이 가능합니다. 방법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현재 수준에서의 시장보급율을 조사하고 또는 추정하고 이것을 기준으로 S 커브와 비교해서 현재 확산 단계인지 아니면 아직 시작 단계인지 아니면 쇠퇴기 인지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미래 시장 수요를 예측하는 것입니다. 무식하게 TAM-SAM-SOM 같은 것들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요약 1. S곡선=로지스틱 곡선 약간만 이해하면 됩니다.
요약 2. 전체 시장 규모 예측 가능합니다.
요약 3. 어려운 건 생성형 시키면 됩니다.
요약 4. 따라하면 됩니다.
먼저, S 곡선에 대해서 이해를 하시기 보다 그냥 외우시는게 좋습니다. 마치 자연현상이다 하고 받아들이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말하는데에는 저 역시 사실 이것을 다 이해하지 못 해서 그렇습니다. S곡선=로지스틱 곡선은 수학자 피에르 프랑수아 베르취 라는 사람이 200년 전에 발견한 사회현상 패턴으로 우리가 태어나기도 전에 제안된 것입니다. 관련 자료를 참조하면 당시에는 인구성장 모델을 설명하기 위해 로지스틱 곡선을 활용했다고 하는데 제 글에 서 느껴지는 분위기 그대로, 그건 그거고 우리는 이것을 잘 활용만 하면 됩니다. 우리가 로지스틱 곡선을 가지고 조금 아는 척을 하기 위해서는 ‘신제품 개발 관련해서 혁신 제품의 확산을 설명할 때 에버렛 로저스에 의해 주장’ 되었다는 것만 알고 계셔도 좋습니다. 에버렛 로저스는 사회학자인데 기술경영에서 매우 중요한 그리고 마케팅에서 매우 중요한 업적을 남긴 부분입니다. 로지스틱 곡선을 활용해서는 대표적으로 인구성장 모델, 질병 전파 모델에서 다루고 시장 포화 모델링에서도 사용합니다. 우리는 본 챕터에서 이걸 어떤 식으로 구현을 하고 예측을 해서 현재 수준을 파악하고 준비하며 미래 수준을 예측해서 시장 점유율 증대를 위한 마케팅 전략 포인트를 결정하면 이것이 ‘바람직한 일잘러’ 라 생각합니다.
이번 챕터에서는 S곡선, 로지스틱 곡선에 대해 꼼꼼히 다루어보겠습니다. (다음 포스팅에 이어서 계속)
.
.
.
생성형인공지능, LLM, 일잘러, RAG응용, 챗지피티 를 활용해서 프로 일잘러 되기 출간 준비중~~!!